비만도 측정
						 
					
비정상적으로 체지방이 
과도하게 증가된 상태 비만
						비만이란 비정상적으로 체지방이 과도하게 증가된 상태를 말합니다. 과도하게 증가된 상태 비만
따라서 체지방량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비만도를 평가할 수 있습니다.
기본적인 방법으로 체질량지수(BMI)와 허리 둘레가 비만의
지표로 많이 사용됩니다.
체질량지수 (Body Mass Index, BMI)
 
					
					체질량지수는 체중과 신장의 관계를 말하며, 표준 체중보다 체지방량을 더 정확하게 반영합니다. 
가장 이상적인 체질량지수는 22정도이며 25이상이면 비만으로 판정합니다.
					
					가장 이상적인 체질량지수는 22정도이며 25이상이면 비만으로 판정합니다.
| 분류 | 저체중 | 정상범위 | 과체중 | 위험 체중 | 1단계 비만 | 2단계 비만 | 
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| BMI(kg/m²) | <18.5 | 18.5-22.9 | 23< | 23-24.9 | 25-29.9 | 30< | 
| 합병증 유발 위험도 | 낮음 | 보통 | 약간 증가 | 증가됨 | 중등도 | 매우 심함 | 
 
				
복부비만 측정법
						지방이 주로 상체에 축적된 비만을 복부 비만 또는 남성형 비만이라고 하는데, 
						당뇨병, 고혈압, 고지혈증 같은 비만의 합병증 복부 비만과 밀접한 관계가 있습니다.
					
					 
					복부지방률
								
									복부비만 = 허리둘레÷엉덩이둘레
									남성은 0.90이상, 여성은 0.85이상이면 
									복부 비만으로 진단합니다. 
								
							허리둘레
								
									허리는 배꼽선의 둘레를 측정하고, 엉덩이는
									가장 둘레가 큰 부위를 측정하면 됩니다.
									남자는 90cm이상, 여자는 85cm이상
									(2006 대한비만학회)일 때 복부 비만으로 정의합니다. 
								
							표준체중법
 
					
					실제 체중이 표준 체중보다 얼마나 초과되어 있는지 비만도를 구합니다. 
비만도가 120%를 넘으면 비만으로 판정합니다.
					
					비만도가 120%를 넘으면 비만으로 판정합니다.
| 판정 | 저체중 | 경한 저체중 | 정상 체중 | 과체중 | 경도 비만 | 중등도 비만 | 고도 비만 | 위험한 비만 | 
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| 비만도(%) | <80 | 89-90 | 90-110 | 110-120 | 120-130 | 130-150 | 150-200 | 200< | 
 
				
체지방지수
체지방 측정기로 측정하며 남성은 25%, 여성은 30% 이상이면 비만에 해당합니다.
 					
				